05-6 외장 함수

sys

sys 모듈은 파이썬 인터프리터가 제공하는 변수들과 함수들을 직접 제어할 수 있게 해주는 모듈이다.

명령 행에서 인수 전달하기 - sys.argv

C:/User/home>python test.py abc pey guido

도스 창에서 위의 예처럼 test.py 뒤에 또 다른 값들을 함께 넣어 주면 sys.argv라는 리스트에그 값들이 추가된다.

예제를 따라 하며 확인해 보자. 우선 다음과 같은 파이썬 프로그램을 작성하자. argv_test.py 파일은 C:/Python/Mymodules 디렉터리에 저장했다고 가정한다(만약 C:/Python/Mymodules 디렉터리가 없다면 먼저 생성하고 진행하자).

# argv_test.py import sys print(sys.argv)

강제로 스크립트 종료하기 - sys.exit

>>> sys.exit()

// sys.exit는 Ctrl+Z나 Ctrl+D를 눌러서 대화형 인터프리터를 종료하는 것과 같은 기능을 한다. 

// 프로그램 파일 내에서 사용하면 프로그램을 중단시킨다.

자신이 만든 모듈 불러와 사용하기 - sys.path

// sys.path는 파이썬 모듈들이 저장되어 있는 위치를 나타낸다. 

// 즉, 이 위치에 있는 파이썬 모듈들은 경로에 상관없이 어디에서나 불러올 수가 있다.

>>> import sys >>> sys.path ['', 'C:\\Windows\\SYSTEM32\\python35.zip', 'c:\\Python35\\DLLs', 'c:\\Python35\\lib', 'c:\\Python35', 'c:\\Python35\\lib\\site-packages'] >>>

// 위의 예에서 ''는 현재 디렉터리를 말한다.


# path_append.py import sys sys.path.append("C:/Python/Mymodules")


// 위와 같이 파이썬 프로그램 파일에서 sys.path.append를 이용해 경로명을 추가할 수 있다. 이렇게 하고 난 후에는 C:/Python/Mymodules라는 디렉터리에 있는 파이썬 모듈을 불러와서 사용할 수가 있다.

pickle

// pickle은 객체의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파일에 저장하고 불러올 수 있게 하는 모듈이다. 

// 다음 예는 pickle 모듈의 dump 함수를 이용하여 딕셔너리 객체인 data를 그대로 파일에 저장하는 방법을 보여 준다.

>>> import pickle >>> f = open("test.txt", 'wb') >>> data = {1: 'python', 2: 'you need'} >>> pickle.dump(data, f) >>> f.close()

// 다음은 pickle.dump에 의해 저장된 파일을 pickle.load를 이용해서 원래 있던 딕셔너리 객체(data) 상태 그대로 불러오는 예이다.

>>> import pickle >>> f = open("test.txt", 'rb') >>> data = pickle.load(f) >>> print(data) {2:'you need', 1:'python'}

// 위의 예에서는 딕셔너리 객체를 이용하였지만 어떤 자료형이든 상관없이 저장하고 불러올 수 있다.

OS 모듈

OS 모듈은 환경 변수나 디렉터리, 파일 등의 OS 자원을 제어할 수 있게 해주는 모듈이다.

내 시스템의 환경 변수값을 알고 싶을 때 - os.environ

//시스템은 제각기 다른 환경 변수값을 가지고 있는데, os.environ은 현재 시스템의 환경 변수 값들을 보여 준다. 

>>> import os >>> os.environ environ({'PROGRAMFILES': 'C:\\Program Files', 'APPDATA': … 생략 …}) >>>

// 위의 결과값은 필자의 시스템 정보이다. os.environ은 환경 변수에 대한 정보를 딕셔너리 객체로 리턴한다. 자세히 보면 여러 가지 유용한 정보를 찾을 수 있다.

// 리턴받은 객체가 딕셔너리이기 때문에 다음과 같이 호출할 수 있다. 다음은 필자 시스템의 PATH 환경 변수에 대한 내용이다.

>>> os.environ['PATH'] 'C:\\ProgramData\\Oracle\\Java\\javapath;...생략...'

디렉터리 위치 변경하기 - os.chdir

os.chdir을 이용하면 아래와 같이 현재 디렉터리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 os.chdir("C:\WINDOWS")

디렉터리 위치 리턴받기 - os.getcwd

os.getcwd는 현재 자신의 디렉터리 위치를 리턴한다.

>>> os.getcwd() 'C:\WINDOWS'

시스템 명령어 호출하기 - os.system

시스템 자체의 프로그램이나 기타 명령어들을 파이썬에서 호출할 수도 있다. os.system("명령어")처럼 사용한다. 다음은 현재 디렉터리에서 시스템 명령어인 dir을 실행하는 예이다.

>>> os.system("dir")

실행한 시스템 명령어의 결과값 리턴받기 - os.popen

os.popen은 시스템 명령어를 실행시킨 결과값을 읽기 모드 형태의 파일 객체로 리턴한다.

>>> f = os.popen("dir")

읽어 들인 파일 객체의 내용을 보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하면 된다.

>>> print(f.read())

기타 유용한 os 관련 함수

함수설명
os.mkdir(디렉터리)디렉터리를 생성한다.
os.rmdir(디렉터리)디렉터리를 삭제한다.단, 디렉터리가 비어있어야 삭제가 가능하다.
os.unlink(파일)파일을 지운다.
os.rename(src, dst)src라는 이름의 파일을 dst라는 이름으로 바꾼다.

shutil

shutil은 파일을 복사해 주는 파이썬 모듈이다.

파일 복사하기 - shutil.copy(src, dst)

src라는 이름의 파일을 dst로 복사한다. 만약 dst가 디렉터리 이름이라면 src라는 파일 이름으로 dst라는 디렉터리에 복사하고 동일한 파일 이름이 있을 경우에는 덮어쓴다.

다음의 예를 보자.

>>> import shutil >>> shutil.copy("src.txt", "dst.txt")

위 예를 실행해 보면 src.txt 파일과 동일한 내용의 파일이 dst.txt로 복사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glob

가끔 파일을 읽고 쓰는 기능이 있는 프로그램을 만들다 보면 특정 디렉터리에 있는 파일 이름 모두를 알아야 할 때가 있다. 이럴 때 사용하는 모듈이 바로 glob이다.

디렉터리에 있는 파일들을 리스트로 만들기 - glob(pathname)

glob 모듈은 디렉터리 내의 파일들을 읽어서 리턴한다. *? 등의 메타 문자를 써서 원하는 파일만 읽어 들일 수도 있다.

다음은 C:/Python이라는 디렉터리에 있는 파일 중 이름이 문자 q로 시작하는 파일들을 모두 찾아서 읽어 들이는 예이다.

>>> import glob >>> glob.glob("C:/Python/q*") ['C:\Python\quiz.py', 'C:\Python\quiz.py.bak'] >>>

tempfile

파일을 임시로 만들어서 사용할 때 유용한 모듈이 바로 tempfile이다. tempfile.mktemp()는 중복되지 않는 임시 파일의 이름을 무작위로 만들어서 리턴한다.

>>> import tempfile >>> filename = tempfile.mktemp() >>> filename 'C:\WINDOWS\TEMP\~-275151-0'

// tempfile.TemporaryFile()은 임시 저장 공간으로 사용될 파일 객체를 리턴한다. 

// 이 파일은 기본적으로 바이너리 쓰기 모드(wb)를 갖는다. f.close()가 호출되면 이 파일 객체는 자동으로 사라진다.

>>> import tempfile >>> f = tempfile.TemporaryFile() >>> f.close()

time

시간과 관련된 time 모듈에는 유용한 함수가 굉장히 많다. 그중에서 가장 유용한 몇 가지만 알아보자.

time.time

time.time()은 UTC(Universal Time Coordinated 협정 세계 표준시)를 이용하여 현재 시간을 실수 형태로 리턴하는 함수이다. 1970년 1월 1일 0시 0분 0초를 기준으로 지난 시간을 초 단위로 리턴한다.

>>> import time >>> time.time() 988458015.73417199

time.localtime

time.localtime은 time.time()에 의해서 반환된 실수값을 이용해서 연도, 월, 일, 시, 분, 초,.. 의 형태로 바꾸어 주는 함수이다.

>>> time.localtime(time.time()) time.struct_time(tm_year=2013, tm_mon=5, tm_mday=21, tm_hour=16, tm_min=48, tm_sec=42, tm_wday=1, tm_yday=141, tm_isdst=0)

time.asctime

위의 time.localtime에 의해서 반환된 튜플 형태의 값을 인수로 받아서 날짜와 시간을 알아보기 쉬운 형태로 리턴하는 함수이다.

>>> time.asctime(time.localtime(time.time())) 'Sat Apr 28 20:50:20 2001'

time.ctime

time.asctime(time.localtime(time.time()))은 time.ctime()을 이용해 간편하게 표시할 수 있다. asctime과 다른점은 ctime은 항상 현재 시간만을 리턴한다는 점이다.

>>> time.ctime() 'Sat Apr 28 20:56:31 2001'

time.strftime

time.strftime('출력할 형식 포맷 코드', time.localtime(time.time()))

strftime 함수는 시간에 관계된 것을 세밀하게 표현할 수 있는 여러 가지 포맷 코드를 제공한다.

시간에 관계된 것을 표현하는 포맷 코드

포맷코드설명
%a요일 줄임말Mon
%A요일Monday
%b달 줄임말Jan
%BJanuary
%c날짜와 시간을 출력함06/01/01 17:22:21
%d날(day)[00,31]
%H시간(hour)-24시간 출력 형태[00,23]
%I시간(hour)-12시간 출력 형태[01,12]
%j1년 중 누적 날짜[001,366]
%m[01,12]
%M[01,59]
%pAM or PMAM
%S[00,61]
%U1년 중 누적 주-일요일을 시작으로[00,53]
%w숫자로 된 요일[0(일요일),6]
%W1년 중 누적 주-월요일을 시작으로[00,53]
%x현재 설정된 로케일에 기반한 날짜 출력06/01/01
%X현재 설정된 로케일에 기반한 시간 출력17:22:21
%Y년도 출력2001
%Z시간대 출력대한민국 표준시
%%문자%
%y세기부분을 제외한 년도 출력01

다음은 time.strftime을 사용하는 예이다.

>>> import time >>> time.strftime('%x', time.localtime(time.time())) '05/01/01' >>> time.strftime('%c', time.localtime(time.time())) '05/01/01 17:22:21'

time.sleep

time.sleep 함수는 주로 루프 안에서 많이 사용된다. 이 함수를 사용하면 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고 루프를 실행할 수 있다.

#sleep1.py import time for i in range(10): print(i) time.sleep(1)

위 예는 1초 간격으로 0부터 9까지의 숫자를 출력한다. 위 예에서 볼 수 있듯이 time.sleep 함수의 인수는 실수 형태를 쓸 수 있다. 즉, 1이면 1초, 0.5면 0.5초가 되는 것이다.

calendar

calendar는 파이썬에서 달력을 볼 수 있게 해주는 모듈이다.

calendar.calendar(연도)로 사용하면 그 해의 전체 달력을 볼 수 있다. 결과값은 달력이 너무길어 생략하겠다.

>>> import calendar >>> print(calendar.calendar(2015))

calendar.prcal(연도)를 사용해도 위와 똑같은 결과값을 얻을 수 있다.

>>> calendar.prcal(2015)

다음의 예는 2015년 12월의 달력만 보여 준다.

>>> calendar.prmonth(2015, 12) December 2015 Mo Tu We Th Fr Sa Su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calendar.weekday

calendar 모듈의 또 다른 유용한 함수를 보자. weekday(연도, 월, 일) 함수는 그 날짜에 해당하는 요일 정보를 리턴한다. 월요일은 0, 화요일은 1, 수요일은 2, 목요일은 3, 금요일은 4, 토요일은 5, 일요일은 6이라는 값을 리턴한다.

>>> calendar.weekday(2015, 12, 31) 3

위의 예에서 2015년 12월 31일은 목요일임을 보여 준다.

calendar.monthrange

monthrange(연도, 월) 함수는 입력받은 달의 1일이 무슨 요일인지와 그 달이 며칠까지 있는지를 튜플 형태로 리턴한다.

>>> calendar.monthrange(2015,12) (1, 31)

위의 예는 2015년 12월의 1일은 화요일이고, 이 달은 31일까지 있다는 것을 보여 준다.

날짜와 관련된 프로그래밍을 할 때 위의 2가지 함수는 매우 유용하게 사용된다.

random

random은 난수(규칙이 없는 임의의 수)를 발생시키는 모듈이다. random과 randint에 대해서 알아보자.

다음은 0.0에서 1.0 사이의 실수 중에서 난수값을 리턴하는 예를 보여 준다.

>>> import random >>> random.random() 0.53840103305098674

다음 예는 1에서 10 사이의 정수 중에서 난수값을 리턴한다.

>>> random.randint(1, 10) 6

다음 예는 1에서 55 사이의 정수 중에서 난수값을 리턴한다.

>>> random.randint(1, 55) 43

random 모듈을 이용해서 재미있는 함수를 하나 만들어 보자.

# random_pop.py import random def random_pop(data): number = random.randint(0, len(data)-1) return data.pop(number) if __name__ == "__main__": data = [1, 2, 3, 4, 5] while data: print(random_pop(data))

결과값: 2 3 1 5 4

위의 random_pop 함수는 리스트의 요소 중에서 무작위로 하나를 선택하여 꺼낸 다음 그 값을 리턴한다. 물론 꺼내진 요소는 pop 메서드에 의해 사라진다.

random_pop 함수는 random 모듈의 choice 함수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좀 더 직관적으로 만들 수도 있다.

def random_pop(data): number = random.choice(data) data.remove(number) return number

random.choice 함수는 입력으로 받은 리스트에서 무작위로 하나를 선택하여 리턴한다.

리스트의 항목을 무작위로 섞고 싶을 때는 random.shuffle 함수를 이용하면 된다.

>>> import random >>> data = [1, 2, 3, 4, 5] >>> random.shuffle(data) >>> data [5, 1, 3, 4, 2] >>>

[1, 2, 3, 4, 5]라는 리스트가 shuffle 함수에 의해 섞여서 [5, 1, 3, 4, 2]로 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webbrowser

webbrowser는 자신의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기본 웹 브라우저가 자동으로 실행되게 하는 모듈이다. 아래의 예제는 웹 브라우저를 자동으로 실행시키고 해당 URL인 http://google.com으로 가게 해준다.

>>> import webbrowser >>> webbrowser.open("http://google.com")

webbrowser의 open 함수는 웹 브라우저가 이미 실행된 상태이면 입력 주소로 이동한다. 만약 웹 브라우저가 실행되지 않은 상태이면 새로 웹 브라우저를 실행한 후 해당 주소로 이동한다.

open_new 함수는 이미 웹 브라우저가 실행된 상태이더라도 새로운 창으로 해당 주소가 열리도록 한다.

>>> webbrowser.open_new("http://google.com")

[스레드를 다루는 threading 모듈]

컴퓨터에서 동작하고 있는 프로그램을 프로세스(Process)라고 한다. 보통 1개의 프로세스는 1가지 일만 하지만, 스레드를 이용하면 한 프로세스 내에서 2가지 또는 그 이상의 일을 동시에 수행하게 할 수 있다. 간단한 예제로 설명을 대신하겠다.

import threading
import time

def say(msg):
    while True:
        time.sleep(1)
        print(msg)

for msg in ['you', 'need', 'python']:
    t = threading.Thread(target=say, args=(msg,))
    t.daemon = True
    t.start()

for i in range(100):
    time.sleep(0.1)
    print(i)

첫 번째 for문에서 ['you', 'need', 'python']이라는 리스트의 요소 개수만큼 스레드가 생성되고, 생성된 스레드는 say 메서드를 수행하게 되어 1초에 한 번씩 입력으로 받은 msg 변수값을 리턴한다. 두 번째 for문은 매 0.1초마다 0부터 99까지 숫자를 출력하는데, 바로 이 부분이 메인 프로그램이 되며 이 메인 프로그램이 종료되는 순간 생성된 스레드들도 함께 종료가 된다. t.daemon = True와 같이 daemon 플래그를 설정하면 주 프로그램이 종료되는 순간 데몬 스레드도 함께 종료된다.

위 예제의 실행 결과값은 다음과 비슷할 것이다.

0
you
need
python
1
2
3
4
5
6
7
8
9
10
you
need
python
11
12
...

위 결과값에서 볼 수 있듯이 스레드는 메인 프로그램과는 별도로 실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스레드 프로그래밍을 가능하게 해주는 것이 바로 threading.Thread 클래스이다. 이 클래스의 첫번째 인수는 함수 이름을, 두 번째 인수는 첫 번째 인수인 함수의 입력 변수를 받는다. 다음과 같이 스레드를 클래스로 정의해도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import threading
import time

class MyThread(threading.Thread):
    def __init__(self, msg):
        threading.Thread.__init__(self)
        self.msg = msg
        self.daemon = True

    def run(self):
        while True:
            time.sleep(1)
            print(self.msg)

for msg in ['you', 'need', 'python']:
    t = MyThread(msg)
    t.start()

for i in range(100):
    time.sleep(0.1)
    print(i)

스레드를 클래스로 정의할 경우에는 __init__ 메서드에서 threading.Thread.__init__(self)와 같이 부모 클래스의 생성자를 반드시 호출해야 한다. MyThread로 생성된 객체의 start 메서드를 실행할 때는 MyThread 클래스의 run 메서드가 자동으로 수행된다.



Posted by 너래쟁이
: